[주식공부/차트분석] 8. 이동평균선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
이전 포스팅에서 이동평균선(이하 이평선)에 대해 알아보고 활용하는 방법까지 살펴보았다.
2018/12/28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6. 이동평균선 활용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평선을 활용하여 매매시점을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앞선 포스팅에서 이평선을 활용하여 매매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알아보았는데, 1. 이평선 정배열 2. 일정기간 횡보 후 정배열 진입 3. 역배열에서 정배열로 바뀜 위 방법들은 결국 이평선이 정배열이 되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반대로 역배열이 되어 하락할 때는 매도 구간으로 볼 수 있다. 우리가 매매를 하기 위해서는 상승 타점 혹은 하락 타점을 잡아야 하는데, 이것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이다. 골든크로스 (Golden Cross)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상향 돌파하는 모습 데드크로스 (Dead Cross)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하향 돌파하는 모습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그림 설명
골든크로스는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상향 돌파하는 모습으로 주가가 상승추세로 변화하였다는 신호이다.
황금 십자가, 즉 매수하기 가장 좋은 타점이라는 표현이다.
반면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하향 돌파하는 모습으로 주가가 하락추세로 변화하였다는 신호이다.
죽음의 십자가, 즉 매도를 해야하는 타점이다.
" 골든크로스(GC)와 데드크로스(DC) 활용하기 "
그렇다면 골드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실제 매매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다음은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매매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KOSPI 차트를 통해서 설명해 보겠다.
아래 차트는 KOSPI 일봉 차트이다.
정배열 구간의 모습으로 번호에 따라 자세히 살펴보겠다.
│① 양봉과 함께 5일선과 20/60/120일선이 차례대로 골든크로스를 만들었다. 이 때 강력한 매수포인트가 될 수 있다.
│② 5일선과 20일선이 데드크로스를 보인 후 3일 안에 골든크로스를 만드는 속임수이다.
주가가 60일선을 깨지 않는 모습이기 때문에 속임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③ 5일선과 20일선이 데드크로스를 만들었다. 주가가 아직 정배열의 상승추세이기 때문에 일부만 매도한다.
│④ 5일선과 20일선이 골든크로스를 만들었다. 60일선을 깨지 않고 전고점을 넘는 모습을 확인하면 매수포인트가 된다.
│⑤ 주가는 올라가면서 정배열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승가능성이 있으므로 매수를 유지한다.
│⑥ 5일선과 20/60일선이 차례대로 데드크로스를 만들었다. 주가가 하락추세로 바뀐 것이므로 매도 포지션을 갖는다.
다음 차트는 KOSPI 차트가 역배열 일때의 모습이다.
마찬가지로 번호를 통해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① 5일선과 20/60/120일선이 차례대로 데드크로스를 만들었다. 주가가 하락추세로 변하였음을 알려준다. 기존에 매수했다면 매도해야 한다.
│② 이평선이 모이는 횡보구간이다. 하지만 120일선이 제일 위에 있는 역배열이므로 단타 매매는 가능하지만 관찰하는 것이 좋다.
│③ 5일선이 다시 20/60/120일선과 데드크로스를 만들며 주가는 횡보하고 있다. 단타로 매수하였다면 매도하여야 한다.
│④ 5일선이 20일선과 골든크로스를 만드는 척 하는 속임수이다.
│⑤ 골든크로스 속임수 이후 완전한 역배열로 바뀌면서 하락추세로 전환되었다.
│⑥ 아직 역배열 구간이기 때문에 단타 매매만 가능하다.
먼저 5일선이 20일선과 골든크로스를 만들었을때 매수하여 60일선을 넘지 못하면 매도하여야 한다.
다시 5일선이 20/60일선과 골든크로스를 만들었을때 매수하여 120일선을 넘지 못하면 매도하여야 한다.
│⑦ 5일선이 20/60일선과 데드크로스를 만들었다. 다시 하락추세로 바뀌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일반 종목의 차트에 대입하여 매매할 수 있다.
정배열의 종목은 상승여지가 있기 때문에 공격적으로 매수에 임할 수 있다.
따라서 중장기적 매매가 가능하고 매도는 분할로 하는 것이 좋다.
반면 역배열의 종목은 가급적이면 관찰하고 매수하였다면 매도를 짧게 봐야한다.
자칫하면 물릴 수 있으니 손절라인을 확실히 잡고 매수해야 한다.
가장 좋은 매수 타점은 이평선이 하나로 모여진 후에 정배열로 바뀔 때이다.
이 때는 강력한 매수포인트로 매수 후 매도를 길게 보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동평균선 관련 포스팅
2018/12/26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5. 이동평균선 정배열/역배열
2018/12/08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3. 이동평균선 (차트매매의 기본)
'기술적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차트분석] 7. 거래대금 (0) | 2019.01.11 |
---|---|
[주식공부/차트분석] 6. 이동평균선 활용하기 (0) | 2018.12.28 |
[주식공부/차트분석] 5. 이동평균선 정배열/역배열 (0) | 2018.12.26 |
[주식공부/차트분석] 4. 거래량 (0) | 2018.12.11 |
[주식공부/차트분석] 3. 이동평균선 (차트매매의 기본) (0) | 2018.12.08 |
[주식공부/기초용어] 10. 주식 동시호가 (+19.4.29 변경수정)
주식 매매거래제도 중에는 동시호가제도라는 것이 존재한다.
동시호가란?
모든 주문이 동시에 들어온 것으로 간주하는 매매방식이다.
시간 우선의 원칙이 무시되며 동시호가 시간 내에 주문된 호가는 수량 우선 원칙이 적용된다.
동시호가 시간동안 모든 주문을 접수받아 수량이 많은 호가부터 차례대로 거래가 체결된다.
(단, 가격 우선의 원칙이 가장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아래 그림을 보면 현재가에서 매수/매도 수량이 많은 호가부터 체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시호가는 장시작 전과 장마감 전에 각각 시행되는데 이로 인해서 시가와 종가가 성립된다.
다음은 주식시장에서 동시호가 시간을 정리한 것이다.
|
주식시장 동시호가 시간
동시호가 시간 동안에 원하는 가격에 매수/매도 주문이 가능하고 취소 및 정정도 가능하다.
이러한 동시호가제도가 만들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주식시장의 시가과 종가를 안정되게 정리하기 위함이다.
정규시장이 시작되고 마감되는 시점에는 매매가 몰리게 되고 이로 인해서 시가와 종가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순간적으로 많은 매매가 몰리게 되면 투자자들의 매매체결이 어려워 질 수 있다.
동시호가제도는 개별경쟁매매보다 거래체결률이 높고 더욱더 공정한 가격결정이 이뤄질 수 있어
선진 각국의 증권거래는 대부분 실시하고 있다.
동시호가 시간에는 아래 그림처럼 매수/매도 호가가 3개만 보여지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세력들이 투자자들의 매매를 부추기기 위해 허수주문을 내기도 한다.
따라서 일반투자자들은 장시작, 장마감까지 호가창을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동시호가에는 대량매매가 우선으로 체결되다 보니 프로그램 매매가 대량으로 나와 등락률를 크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호가 플레이에서 확인한 삼성전자 동시호가 호가창
'주식 공부 시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기초용어] 12. 주식 주문 조건 IOC, FOK (0) | 2018.12.10 |
---|---|
[주식공부/기초용어] 11. 주식 주문 종류 (시장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조건부지정가) (0) | 2018.12.10 |
[주식공부/기초용어] 9. 주식매매 체결원칙 (매매우선원칙) (0) | 2018.12.09 |
[주식공부/기초용어] 8. 시간외 주식거래방법 (장전시간외종가, 장후시간외종가, 시간외단일가) (+19.4.29 변경수정) (0) | 2018.12.07 |
[주식공부/기초용어] 7. 단기과열 완화장치 (0) | 2018.12.06 |
[주식공부/차트분석] 1. 기술적 분석 : 주식을 예측하는 방법
우리가 주식을 하는 목적은 어떤 종목이 올라갈 것을 예측하고 매수해서 수익을 얻는 것이다.
주식의 앞날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주식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과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이 있다.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
기업의 내재적 가치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증권시장에서 기업의 시장가격이 실제 기업의 가치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매수할 수 있다.
기본적 분석을 하기 위해 경제분석, 산업분석, 기업분석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하여 기업의 내재가치를 판단하고 투자여부를 결정한다.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주가와 거래량 등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식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증권시장에서 가격의 움직임이 미래에도 반복된다고 가정하고 그 패턴을 찾아 매매하는 방식이다.
기본적 분석은 일반투자자가 하기에 어려울 수 있고 많은 지식과 장기간의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투자자가 접근하기 쉬운 방법은 기술적 분석이다.
기술적 분석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차트분석이 있고
많은 일반투자자가 이 방법을 통하여 매매를 하고 있다.
차트분석은 차트의 움직임을 보고 주가를 예측하여 투자여부를 결정한다.
차트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표를 활용하거나 지지와 저항, 파동 등을 확인하여 분석한다.
키움증권 영웅문 차트예시
차트를 분석하기 위한 대표적인 지표로 이동평균선이 있다.
아래와 같이 차트에 이동평균선을 추가하면 주가의 움직임을 좀 더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다.
키움증권 영웅문 차트예시 (이평선 추가)
기술적 분석은 많은 차트분석을 해봄으로써 개인의 노력으로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단기적인 투자가 가능한 매매 방법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사용하기 유리하다.
개인적으로 차트분석을 통해서 매매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중점으로 두고 앞으로 기술적 분석을 통한 매매방법을 공유해보도록 하겠다.
'기술적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차트분석] 6. 이동평균선 활용하기 (0) | 2018.12.28 |
---|---|
[주식공부/차트분석] 5. 이동평균선 정배열/역배열 (0) | 2018.12.26 |
[주식공부/차트분석] 4. 거래량 (0) | 2018.12.11 |
[주식공부/차트분석] 3. 이동평균선 (차트매매의 기본) (0) | 2018.12.08 |
[주식공부/차트분석] 2. 주식 양봉, 음봉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주식캔들 보는법) (0) | 2018.12.06 |
[주식공부/기초용어] 3. 테마주란 무엇인가?
주식을 하다보면 테마주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
증권 관련 뉴스에도 'ㅇㅇ주, ㅇㅇ테마주' 라는 글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테마주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테마주는 비슷한 업종 군끼리 묶어서 통합적으로 말한다.
HTS에서도 쉽게 테마를 확인 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을 보면 키움증권 영웅문에서 테마그룹별로 종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아래와 같이 확인하면 최근 주식시장에서 각광받는 업종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목코드 검색을 통해 해당 종목이 어떤 테마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키움증권 영웅문 [0649] 테마종목 확인창
테마주가 중요한 이유는 어떠한 뉴스나 시장상황에 따라 해당 테마주들이 비슷하게 움직이기 때문이다.
호재가 있을 경우 함께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며, 악재의 경우 동반하락한다.
그렇기 때문에 테마주를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위의 테마종목 확인창에서 모든 종목의 테마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누락되는 경우도 발생하며, 간접적으로 테마에 엮여 테마주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예림당은 교육관련 테마주이지만 티웨이항공의 모회사이기 때문에 항공주 뉴스발생에 따라 주가가 비슷하게 움직인다.
이렇듯 해당 테마과 관련없는 업종이라 하더라도 투자여부 등에 따라 다른 테마에 속할 수 있다.
이런 종목들은 기업개요나 뉴스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마는 어떠한 뉴스에 의해 만들어 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정치테마주를 볼 수 있다.
아래 표는 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문재인 테마주로 정리한 종목들이다.
정치테마주는 대선이나 선거를 앞두고 이슈화되는데 해당 정치인의 혈연, 학연, 지연 등을 모두 끌어다가 만들어진다.
이런한 종목들은 이벤트가 발생 할 때 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북미정상회담 이후 이슈가 되고 있는 대북관련주는 요즘 주식시장을 이끌어가는 대표 테마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대북관련주 내에서도 상세테마가 발생하여 여러 갈래로 나뉘는 모습을 보인다.
철도테마주, DMZ주, 농업주, 가스관주 등 여러 테마들이 발생하여 각 뉴스에 따라 움직인을 보인다.
테마주는 주식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테마주를 잘 알고 있어야 어떤 뉴스나 이벤트가 발생할 때 잘 대응할 수 있다.
이슈가 되고 있는 테마주에 대해서는 '테마주 분석' 카테고리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주식 공부 시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기초용어] 6. VI (종목별 변동성 완화장치) (0) | 2018.12.06 |
---|---|
[주식공부/기초용어] 5. 서킷브레이커 / 사이드카 (0) | 2018.12.06 |
[주식공부/기초용어] 4. 상한가/하한가 (가격제한폭) (0) | 2018.12.06 |
[주식공부/기초용어] 2. 코스닥(KOSDAQ)이란 ? (0) | 2018.11.30 |
[주식공부/기초용어] 1. 코스피(KOSPI)란 ? (0) | 2018.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