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기초용어] 7. 단기과열 완화장치
특정 종목이 단기간 급등하게 되면 투자자들이 매수하는 심리가 크게 작용하게 되면서 투자과열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지속적인 상승 이후 급락이 발생하게 되고 일반투자자들은 손해를 보게 된다.
흔히 말하는 고점에 물리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투자자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거래소에서 단기과열 완화장치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2012.11.05부터 시행)
단기과열 완화장치는 VI와는 다르게 일정 기간동안 급등한 종목에 대하여 제재를 가하는 것이다.
주식매매를 하다보면 계속 매매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30분 마다 매매가 이뤄지는 종목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종목들은 단기과열 완화장치가 발동된 것이다.
단기과열 완화장치의 발동은 유통주식수가 적은 종목과 그렇지 않는 종목으로 구분하여 발동되는 방법이 약간 다르다.
아래 그림은 단기과열 완화장치가 발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단기과열 완화장치 발동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당일 종가가 직전 40거래일 종가의 평균 대비 30% 이상 상승
2. 최근 2거래일 평균 회전율이 직전 40거래일 회전율 평균 대비 500% 이상 증가
3. 최근 2거래일 평균 일중변동성이 직전 40거래일 일중변동성 평균 대비 50% 이상 증가
단기과열 완화장치가 발동되면 해당 종목은 30분 단위 단일가 매매 방식으로 변경된다.
정규시장(09:00~15:30)에는 09:00부터 30분씩 경과한 시점에 매매 체결이 이루어진다.
단기과열 완화장치의 해제기준도 종목에 따라 다르다.
유통주식수가 적은 종목의 경우 발동기간(10거래일) 경과 후 익일부터 자동해제되며,
그 외 일반종목은 발동기간(3거래일) 경과 후 익일부터 자동해제된다.
단, 발동종료일 종가가 발동일 전일 종가 대비 20% 이상 상승한 경우에는 해제일이 각 반동기간 만큼 연장될 수 있다.
실제로 단기과열 완화장치가 발동된 종목을 살펴보자.
아래 그림은 한라의 단기과열 완화장치 발동예고 공시와 단기과열 완화장치 발동 공시이다.
4월 20일에 발동예고가 공시된 이후 3일 후인 23일에 단기과열 완화장치가 발동되어 24일부터 3일간 단일가매매로 변경되었다.
키움증권 영웅문 [0700] 종합시황뉴스
단기과열 완화장치가 발동되면 일봉에서는 단일가 매매가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지만
분봉(30분봉 이하)에서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기과열 완화장치가 발동된 종목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종목명 앞에 '열'로 표시되어 있다.(키움증권 영웅문 기준)
키움증권 영웅문 [0600] 키움종합차트
이처럼 단기과열 완화장치가 발동됨으로 인하여 급등이 지속되는 종목에 대하여 안정적인 가격이 형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국거래소에서 현재 단기과열 완화장치가 발동된 종목을 확인할 수 있다. (링크클릭)
http://marketdata.krx.co.kr/mdi#document=040312
'주식 공부 시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기초용어] 9. 주식매매 체결원칙 (매매우선원칙) (0) | 2018.12.09 |
---|---|
[주식공부/기초용어] 8. 시간외 주식거래방법 (장전시간외종가, 장후시간외종가, 시간외단일가) (+19.4.29 변경수정) (0) | 2018.12.07 |
[주식공부/기초용어] 6. VI (종목별 변동성 완화장치) (0) | 2018.12.06 |
[주식공부/기초용어] 5. 서킷브레이커 / 사이드카 (0) | 2018.12.06 |
[주식공부/기초용어] 4. 상한가/하한가 (가격제한폭)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