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NA BE A STOCK MASTER

 

 

 

 

이전 포스팅에서 이동평균선(이하 이평선)에 대해 알아보고 활용하는 방법까지 살펴보았다.

 

2018/12/28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6. 이동평균선 활용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평선을 활용하여 매매시점을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앞선 포스팅에서 이평선을 활용하여 매매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알아보았는데,

1. 이평선 정배열

2. 일정기간 횡보 후 정배열 진입

3. 역배열에서 정배열로 바뀜

위 방법들은 결국 이평선이 정배열이 되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반대로 역배열이 되어 하락할 때는 매도 구간으로 볼 수 있다.

우리가 매매를 하기 위해서는 상승 타점 혹은 하락 타점을 잡아야 하는데,

이것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이다.

 

골든크로스 (Golden Cross)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상향 돌파하는 모습

 

데드크로스 (Dead Cross)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하향 돌파하는 모습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그림 설명

 

 

골든크로스는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상향 돌파하는 모습으로 주가가 상승추세로 변화하였다는 신호이다.

황금 십자가, 즉 매수하기 가장 좋은 타점이라는 표현이다.

반면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하향 돌파하는 모습으로 주가가 하락추세로 변화하였다는 신호이다.

죽음의 십자가, 즉 매도를 해야하는 타점이다.

 

 


 

 

" 골든크로스(GC)와 데드크로스(DC) 활용하기 "

 

그렇다면 골드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실제 매매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다음은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매매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KOSPI 차트를 통해서 설명해 보겠다.

아래 차트는 KOSPI 일봉 차트이다.

정배열 구간의 모습으로 번호에 따라 자세히 살펴보겠다.

 

 

│① 양봉과 함께 5일선과 20/60/120일선이 차례대로 골든크로스를 만들었다. 이 때 강력한 매수포인트가 될 수 있다.

② 5일선과 20일선이 데드크로스를 보인 후 3일 안에 골든크로스를 만드는 속임수이다.

 주가가 60일선을 깨지 않는 모습이기 때문에 속임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③ 5일선과 20일선이 데드크로스를 만들었다. 주가가 아직 정배열의 상승추세이기 때문에 일부만 매도한다.

④ 5일선과 20일선이 골든크로스를 만들었다. 60일선을 깨지 않고 전고점을 넘는 모습을 확인하면 매수포인트가 된다.

⑤ 주가는 올라가면서 정배열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승가능성이 있으므로 매수를 유지한다.

⑥ 5일선과 20/60일선이 차례대로 데드크로스를 만들었다. 주가가 하락추세로 바뀐 것이므로 매도 포지션을 갖는다.

 

 

다음 차트는 KOSPI 차트가 역배열 일때의 모습이다.

마찬가지로 번호를 통해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① 5일선과 20/60/120일선이 차례대로 데드크로스를 만들었다. 주가가 하락추세로 변하였음을 알려준다. 기존에 매수했다면 매도해야 한다.

② 이평선이 모이는 횡보구간이다. 하지만 120일선이 제일 위에 있는 역배열이므로 단타 매매는 가능하지만 관찰하는 것이 좋다.

③ 5일선이 다시 20/60/120일선과 데드크로스를 만들며 주가는 횡보하고 있다. 단타로 매수하였다면 매도하여야 한다.

④ 5일선이 20일선과 골든크로스를 만드는 척 하는 속임수이다.

⑤ 골든크로스 속임수 이후 완전한 역배열로 바뀌면서 하락추세로 전환되었다.

⑥ 아직 역배열 구간이기 때문에 단타 매매만 가능하다.

 먼저 5일선이 20일선과 골든크로스를 만들었을때 매수하여 60일선을 넘지 못하면 매도하여야 한다.

 다시 5일선이 20/60일선과 골든크로스를 만들었을때 매수하여 120일선을 넘지 못하면 매도하여야 한다.

⑦ 5일선이 20/60일선과 데드크로스를 만들었다. 다시 하락추세로 바뀌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일반 종목의 차트에 대입하여 매매할 수 있다.

정배열의 종목은 상승여지가 있기 때문에 공격적으로 매수에 임할 수 있다.

따라서 중장기적 매매가 가능하고 매도는 분할로 하는 것이 좋다.

반면 역배열의 종목은 가급적이면 관찰하고 매수하였다면 매도를 짧게 봐야한다.

자칫하면 물릴 수 있으니 손절라인을 확실히 잡고 매수해야 한다.

가장 좋은 매수 타점은 이평선이 하나로 모여진 후에 정배열로 바뀔 때이다.

이 때는 강력한 매수포인트로 매수 후 매도를 길게 보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동평균선 관련 포스팅

2018/12/26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5. 이동평균선 정배열/역배열

2018/12/08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3. 이동평균선 (차트매매의 기본)

 

 

 

 

차트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거래량만큼 중요하게 보는 지표가 있다.

바로 거래대금이다.

 

 「 거래대금 = 주식가격 x 거래량 」

 

거래대금은 종목의 가격에 거래량을 곱한 값이다.

거래대금이 많은 종목은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서로 상관관계에 있으며,

거래량이 많으면 거래대금이 크게 된다.

거래대금은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거래대금은 기본차트에 없으니 지표추가를 통하여 추가해야 한다. (키움증권 영웅문 기준)

 

 

거래대금은 거래량과 비슷하게 볼 수 있다.

거래량 관련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가와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거래량 관련 포스팅

2018/12/11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4. 거래량

 


그렇다면 거래대금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거래대금이 큰 종목일수록 많은 자금이 투입되었기 때문에 시장에 관심을 더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식 가격이 높은 종목의 거래대금이 크다.

아래 그림을 보면 LG화학과 에이디칩스의 거래대금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LG화학은 1주에 30만원이 넘는 대형주로 평균 거래대금이 500억을 넘는다.

하지만 에이디칩스는 1주에 1700원 정도인 소형주로 거래대금 500억은 턱도 없다.

 

 

 


 

" 거래대금을 차트매매에 활용하기 "

 

거래대금은 일봉에서 주로 사용하며 큰 돈이 움직인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평소 거래량이 많은 대형주나 코스피/코스닥 상위 종목의 경우 거래대금의 차이가 명확하게 보이지 않지만

뉴스나 테마에 따라 움직이는 종목은 거래대금의 변화를 확실히 보여준다.

예시로 아난티 차트(아래)를 살펴보겠다.

금강산 관련 뉴스가 나오면서 거래대금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주가도 같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뉴스나 테마에 따라 거래대금이 크게 증가한 종목은 시장에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장에 관심받는 종목을 찾아 차트매매에 이용할 수 있다.

반면 악재와 함께 거래대금이 증가하면 하락의 신호가 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당일 거래대금상위 종목을 확인 할 수 있다.

(키움증권 영웅문 기준)

 

 

[0186] 거래대금상위

 

장중에도 거래대금 상위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시간외 거래대금 상위도 확인할 수 있다.

 

 

[0184] 당일거래상위

 


 

거래대금은 거래량과 함께 주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이며,

특히 시장의 관심을 받는 종목을 찾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이다.

따라서 좋은 종목을 찾는데 있어서 거래대금의 확인은 필수요소이다.

 

 



앞서 이평선과 이평선의 배열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실제로 차트를 분석하는데 이평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주식매매를 하는데 어떤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평선은 상승추세 종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평선이 어떤 모습일 때 주가가 상승추세를 보이는지 알아보겠다.

 


 

「 이평선이 정배열인 종목 」


이평선은 일반적으로 정배열일 때가 좋은 모습이다.

이평선의 정배열은 상승추세를 나타내기 때문에 종목을 선택할 때 이평선이 정배열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동평균선 정배열/역배열 설명

2018/12/26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5. 이동평균선 정배열/역배열




일정기간 횡보 후 정배열로 들어서는 종목 」


주가가 일정기간동안 횡보하면서 바닥을 다진 후 정배열로 들어서는 경우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횡보기간은 정해진건 아니지만 보통 6개월 이상으로 보며,

단기투자의 경우 3개월 이상으로 보기도 한다.

차트를 보면서 자세히 알아보겠다.


아난티의 차트(위)를 보면 6월 고점을 넘기지 않고 횡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때 이평선들은 갭을 크게 보이지 않고 모여있다.

12월에 6월 고점을 넘기는 양봉이 발생하면서 명확한 정배열을 보이고 있다.

이후 주가는 상승추세를 보인다.

 


GS건설의 차트(위)는 장기간 횡보 후 18년 1월 정배열로 만들어 지는 듯 했으나 완벽하게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 후 또다시 횡보하다가 4월에 고점을 갱신하는 봉이 생기며 정배열로 변화하였다.

 

그 이후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역배열에서 정배열로 바뀌는 종목 」


이평선이 역배열이라는 것을 오랜기간 하락추세를 보이는 것이다.

그러다가 어떠한 시점에 정배열로 바뀌면서 추세가 변화된다.

역배열에서 정배열로 바뀌는 모습을 차트로 확인해 보겠다.



풍국주정의 차트(위)를 보면 장기간 하락추세를 보이다 급격한 상승으로 정배열로 변하였다.

12월 24일을 기점으로 120일선까지 완벽한 정배열을 만들었다.

급격한 상승이 있는 종목이라 하락의 가능성도 있지만 이평선의 모습으로만 보면 추가 상승의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SK텔레콤의 차트(위)는 명확하게 상승추세로 바뀌는 모습을 보여준다.

6개월 정도 하락추세를 보이다 8월에 정배열로 변화하면서 꾸준한 상승을 보여준다.


위에서 세가지 방법으로 이평선을 활용하여 상승추세를 알아보았다.

이평선만으로 쉽게 추세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투자자가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지표이다.

 

하지만 이 또한 보조지표이기 때문에 실제로 매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검증이 필요하다.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한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흐름을 선을 통해 보기 쉽게 해준다.

이동평균선은 차트매매를 하기 위한 기본 지표로 사용되는데 그 모습에 따라 주가의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이하 이평선)을 통해 추세를 파악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정배열과 역배열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동평균선의 정배열이란?


이평선을 나열했을 때 위에서부터 5,10,20,60,120이평선 순으로 배열되는 모습이다.

즉 단기이평선이 장기이평선보다 위에 있는 모습이다.

이 때 주가는 상승추세를 보이게 된다.

이평선 정배열 차트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신라젠의 차트(위)는 꾸준한 상승을 보이며 이평선이 정배열된 모습이다.

단기이평선은 약간의 하락이나 횡보에도 서로 역배열이 되곤 한다.

하지만 장기이평선은 꾸준한 상승을 보일 시 정배열을 유지한다.

주가의 지속적인 상승은 이평선의 정배열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JYP Ent.의 차트(위)는 정배열을 더욱 확실하게 보여준다.

지속적으로 큰 폭의 상승이 일어나 이평선간의 갭을 크게 만들었다.

이평선의 정배열은 지수차트(아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17년 정배열의 모습을 보이던 당시 안정된 시장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동평균선의 역배열이란?


이평선 정배열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평선을 나열했을 때 아래에서부터 5,10,20,60,120이평선 순으로 배열되는 모습이다.

즉 장기이평선이 단기이평선보다 위에 있는 모습이다.

이 때 주가는 하락추세를 보이게 된다.

이평선 역배열의 차트를 알아보겠다.



아모레G의 차트(위)를 보면 장기이평선이 확연하게 위에 있는 모습이다.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 단기적으로 반등하여 회복하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단기이평선은 짧은기간 정배열로 돌아가는 모습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주가가 하락추세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근 지수차트(아래)를 보면 대외적인 불안감으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박스권을 그리며 횡보하다가 다시 역배열을 만드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이평선의 정배열과 역배열을 매매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정배열 구간의 종목들을 위주로 매매를 할 수 있다.

또한 역배열 후 정배열로 바뀌는 종목들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매매에 적용하는 방법은 추후에 다시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

 

*이동평균선 설명

2018/12/08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3. 이동평균선 (차트매매의 기본)


 

주식시장에서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한다고 일컬어지며 중요한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거래량이란?

주식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된 양
즉, 매도 1주와 매수 1주가 이루어지면 거래량이 1주가 된다.

주식시장에서 거래량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그 종목을 팔고 사려는 투자자가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장에 주목을 많이 받는 종목일 수록 거래량이 많아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거래량이 늘어나면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거래량이 줄어들면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기초하여 거래량으로 주가를 판단할 수 있다.

거래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차트를 봐야한다.
키움증권의 경우 기본차트에서 거래량을 확인 할 수 있다.


키움증권 영웅문 기본차트




그렇다면 거래량은 실제로 주가와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
다음은 매일경제 경제용어사전에서 발췌한 거래량과 주가의 상관관계이다.


 

① 거래량이 점차 줄고 있는 상태로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일 때에는 향후 주가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② 거래량이 점차 증가하는 상태로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하면 향후 주가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③ 주가가 상승하여 정상에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주가상승에도 불구하고 거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④ 주가가 바닥에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주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매일경제 경제용어사전 - 거래량 中]

 


말이 좀 어려우니 차트와 함께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① 거래량이 점차 줄고 있는 상태로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일 때에는 향후 주가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시차트 - 신라젠

 

 

② 거래량이 점차 증가하는 상태로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하면 향후 주가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시차트 - 디아이


 

③ 주가가 상승하여 정상에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주가상승에도 불구하고 거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예시차트 - 동성제약


 

④ 주가가 바닥에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주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예시차트 - 한미약품




 

거래량을 통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해 보조지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거래량 이동평균선, OBV, 거래량비율, 거래량회전율, 클라이맥스 지표, 변환지표 등이 있다.
특히 거래량 이동평균선을 주로 활용한다

HTS에서 거래량 상위 종목을 확인할 수 있다.


키움증권 영웅문 [0184] 당일거래상위(거래량/회전율/거래대금)

또한 전일 거래량 상위 100위 종목을 확인 할 수 있다.


키움증권 영웅문 [0185] 전일거래상위(거래량/거래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