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NA BE A STOCK MASTER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의 약자로 전자거래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국내 장외 주식거래시장을 말한다.

 

코스닥위원회가 운영하는 장외거래 주식시장으로서 미국의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중소, 벤처기업을 위한 증권시장이다.

명칭은 미국의 나스닥(NASDAQ)을 한국식으로 영문 합성한 것으로, 1996년 7월 1일 증권업협회에 의하여 개설되었다. 코스닥 개장으로 증권거래소 상장을 위한 예비적 단계에 머물렀던 장외시장은 미국의 나스닥(NASDAQ)과 같이 자금조달시장 및 투자시장으로서 증권거래소와 대등한 독립적인 시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매매를 위한 건물이나 플로어 등이 없이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장외거래 주식을 매매하는 전자거래시스템으로 주식매매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코스닥은 전자시스템을 이용한 불특정 다수자의 참여라는 경쟁매매방식을 도입, 기존의 장외시장을 새롭게 개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장내시장에 편입됨에 따라 등록이라는 표현 대신 유가증권시장과 마찬가지로 상장이라고 한다. 보통 옛 증권거래소 시장에 해당되는 유가증권시장을 통합거래소 상위시장, 코스닥시장을 하위시장이라고 부른다. 유가증권시장보다는 상장 기준이 완화된 편이어서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출처] 두산백과

 


 

 

코스닥 지수는 코스피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움직임을 보인다.
크게 본다면 국내외 시장상황을 반영하지만 국내 업종의 상황에 좀 더 민감하게 반영하기도 한다.  

특히 그 당시 이슈가 되고 있는 테마나 뉴스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대표적으로 정치테마주, 바이오관련주, 대북관련주 등의 뉴스에 따라 코스닥 지수가 변화한다.
이는 코스피보다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의 수가 많고 코스피 종목에 비해 주가 등락률이 큰 편이기 때문에 주가에 크게 영향하는 것으로 보인다.

 

키움증권 영웅문 [0602] 업종종합차트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로 국내 종합 주가 지수를 말한다.

유가증권시장본부(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표시한 수치이다.
시장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투자성과 측정, 다른 금융상품과의 수익률 비교척도, 경제상황 예측지표로도 이용된다.
증권거래소는 1964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미국의 다우 존스식 주가평균을 지수화한 수정주가 평균지수를 산출하여 발표하였는데, 점차 시장규모가 확대되어 감에 따라 1972년 1월 4일부터는 지수의 채용종목을 늘리고 기준시점을 변경한 한국종합주가지수를 발표하였다.
KOSPI 산출은 1980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그 날의 시가총액을 100, 비교시점을 100으로 하여 비교시점의 시가 총액을 지수화한다.
KOSPI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기준시점의 시가총액) × 100

[출처] 매일경제용어사전

 


 

 

코스피 지수는 수치로 표시되지만 차트를 활용하여 전반적인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차트를 보면 국내외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 1년간 코스피 지수를 살펴보면,

17년도 꾸준한 상승장을 이어가다 18년도에는 하락장을 맞이했다.

대북 리스크가 완화되면서 연초까지 지수가 안정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최근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미국과 중국 증시가 급락함에 따라 국내 지수도 영향을 받고

 

키움증권 영웅문 [0602] 업종종합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