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NA BE A STOCK MASTER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한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흐름을 선을 통해 보기 쉽게 해준다.

이동평균선은 차트매매를 하기 위한 기본 지표로 사용되는데 그 모습에 따라 주가의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이하 이평선)을 통해 추세를 파악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정배열과 역배열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동평균선의 정배열이란?


이평선을 나열했을 때 위에서부터 5,10,20,60,120이평선 순으로 배열되는 모습이다.

즉 단기이평선이 장기이평선보다 위에 있는 모습이다.

이 때 주가는 상승추세를 보이게 된다.

이평선 정배열 차트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신라젠의 차트(위)는 꾸준한 상승을 보이며 이평선이 정배열된 모습이다.

단기이평선은 약간의 하락이나 횡보에도 서로 역배열이 되곤 한다.

하지만 장기이평선은 꾸준한 상승을 보일 시 정배열을 유지한다.

주가의 지속적인 상승은 이평선의 정배열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JYP Ent.의 차트(위)는 정배열을 더욱 확실하게 보여준다.

지속적으로 큰 폭의 상승이 일어나 이평선간의 갭을 크게 만들었다.

이평선의 정배열은 지수차트(아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17년 정배열의 모습을 보이던 당시 안정된 시장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동평균선의 역배열이란?


이평선 정배열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평선을 나열했을 때 아래에서부터 5,10,20,60,120이평선 순으로 배열되는 모습이다.

즉 장기이평선이 단기이평선보다 위에 있는 모습이다.

이 때 주가는 하락추세를 보이게 된다.

이평선 역배열의 차트를 알아보겠다.



아모레G의 차트(위)를 보면 장기이평선이 확연하게 위에 있는 모습이다.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 단기적으로 반등하여 회복하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단기이평선은 짧은기간 정배열로 돌아가는 모습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주가가 하락추세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근 지수차트(아래)를 보면 대외적인 불안감으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박스권을 그리며 횡보하다가 다시 역배열을 만드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이평선의 정배열과 역배열을 매매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정배열 구간의 종목들을 위주로 매매를 할 수 있다.

또한 역배열 후 정배열로 바뀌는 종목들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매매에 적용하는 방법은 추후에 다시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

 

*이동평균선 설명

2018/12/08 - [기술적 분석] - [주식공부/차트분석] 3. 이동평균선 (차트매매의 기본)